소아과, 산부인과, 응급의학과 등 국립 경북대병원 필수과 전공의 충원율이 절반도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국립대학교병원의 평균 충원율(55.7%)을 밑돌아 40%대에 불과했다.대구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 국립대병원도 상황은 비슷했다. '의료 사태' 2년 간 전공의들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백승아(40.비례대표) 국회의원이 11일 전국 15개 국립대병원(본원과 분원)이 제출한 '국립대병원 하반기 모집 전공의 정·현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15개 국립대병원의 전공의 정원 2,861명 가운데 현재 근무중인 전공의는 1,955명으로 충원율 68.3%로 조사됐다.
의료 사태 전인 지난 2023년 12월 31일 기준 ▲서울대병원(본원) 충원율은 95.1%로 나타났다. 하지만 의료 사태 이후인 2025년 9월 현재 충원율은 80.4%로 떨어졌다. ▲분당 서울대병원은 95.0%에서 75.2% ▲부산대병원(본원)은 85.6%에서 64.3% ▲양산 부산대병원은 80.2%에서 62.6% ▲경북대병원(본원)은 84.4%에서 64.0% ▲칠곡 경북대병원은 69.0%에서 52.8% ▲경상국립대병원(본원)은 86.7%에서 66.0% ▲창원 경상국립대병원은 77.5%에서 42.6% ▲강원대병원은 82.6%에서 61.3% ▲전남대병원(본원)은 84.9%에서 68.0% ▲화순 전남대병원은 84.9%에서 68.0% ▲전북대병원은 81.2%에서 71.7% ▲충북대병원은 79.4%에서 60.0% ▲충남대병원은 77.8%에서 68.6% ▲제주대병원은 70.5%에서 63.6%로 떨어졌다.
전공의들이 의료 사태 이후 병원에 복귀했음에도 여전히 전공의 수는 전체 정원에 비해 부족하고, 의정 갈등 전인 지난 2023년 12월과 비교해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2023년 12월 31일 기준 14.4%였던 국립대병원 전공의 결원율은 2025년 9월 현재 31.7%로 17.3%p 상승했다. 국립대병원별로도 그 격차가 컸다. 서울대병원 충원율이 80.4%인 반면, 경상국립대병원은 42.6%, 칠곡 경북대병원은 52.8%, 화순 전남대병원은 55.3%로 전공의 충원율이 낮았다.
필수과 전공의 충원율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수련 환경 혁신 지원사업' 대상인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 필수의료 8개 과목으로 전공의 수를 한정해 살펴보면, 전공의 충원율과 그 격차는 더 크다. 2023년 12월 81.1%였던 전체 병원 필수과 전공의 충원율은 현재 55.7%로 25.4%나 하락했다. 전체 15개 병원 중 10곳의 필수과 충원율은 50%를 밑돌았다.
서울대병원(본원)은 지난 2023년 12월 31일 기준 충원율 94.7%에서 2025년 9월 기준 76.2%로 떨어졌다. 분당 서울대병원은 98.2%에서 69.4%로 하락했다. 이처럼 서울대병원도 2년 사이 하락세를 보였지만, 지방 국립대 병원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셈이다. 60~70%대 충원율을 보인 곳은 서울대병원이 유일하다.
특히 대구에 있는 경북대학교병원(본원)의 경우 2023년 기준 정원 84명 가운데 현원 68명으로 충원율 81.0%를 보인 반면, 2025년 9월 현재 95명 정원 가운데 현원은 45명으로 충원율이 47.4%에 그쳤다. 2년 사이 33.6%나 하락한 셈이다. 칠곡 경북대병원도 69.6%에서 43.9%로 충원율이 크게 떨어졌다.
지역별로 보면 ▲부산대병원(본원)은 75.8%에서 48.6% ▲양산 부산대병원은 69.5%에서 40.4%로 충원율이 떨어졌다. ▲경상국립대병원(본원)은 77.6%에서 45.8% ▲창원 경상국립대병원은 60.9%에서 23.3% ▲강원대병원은 68.8%에서 35.1% ▲전남대병원(본원)은 79.8%에서 59.2% ▲화순 전남대병원은 82.8%에서 48.6% ▲전북대병원은 75.9%에서 62.2% ▲충북대병원은 73.5%에서 40.7% ▲충남대병원은 72.3%에서 54.2% ▲제주대병원은54.8%에서 38.7%로 충원율이 떨어졌다.
백승아 의원은 "만성적인 필수과 전공의 부족, 누적된 재정 적자, 수도권 비필수과목 전공의 쏠림현상 등으로 지방 국립대병원들은 복합적 위기에 처해 있다"며 "지역·필수의료는 물론 의학교육과 임상연구의 중추인 국립대병원이 무너지지 않도록 정부의 정교한 지원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이어 "재정적 지원과 함께 필수과 전공의 확보와 안정적인 수련 환경 조성, 교육·연구·임상 기능의 균형잡힌 발전을 위한 인프라 확충 등 국립대병원들이 본연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필수과목 수련 전공의 보조수당 지급, 수가인상, 필수의료 보상체계 마련을 비롯해 전공의 지도 참여 교수진에 대한 합당한 보상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사태란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 정책에 반발해 의대생들과 전공의들이 학교와 병원을 떠나면서 발생한 의료대란이다. 당시 정부는 증원 이유로 적은 의사 수를 들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기준 국내 인구 1,000명당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2.6명으로 30개 회원국 중 멕시코(2.5명) 다음으로 가장 적다. 의사를 단번에 늘려 의료 서비스 수요를 공급한다는 취지다. 하지만 의료계는 당사자들을 배제한 일방적 증원, 지방과 필수의료를 외면한 정책이라고 반발했다. 이 사태로 의료 인력에 큰 공백이 생겨 현장 진료에 차질이 생겼다.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갔다. 탄핵정국과 정권교체를 거친 이후 전공의들이 복귀했으나 지방의 피해는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